|
|
2월 7일 일분톡 이야기는
# 메타 어쩌나
# 넷플 위협하는 유튜브 위상
# 성장하는 수직농업
# 1월 주목해야 할 테크기업
🎁
오늘 2번째 이벤트 있음
+탈잉 당첨자도 있음
|
|
내가 웃는 게 웃는 게 아니야
빅테크라 하면, 아마존, 애플, 구글, MS, 메타(페이스북)를 칭하는데 메타가 곧 빠질 수도 있겠다. 시총이 역대 최대로 하락했기 때문. 실적이 꽤나 안 좋은 비상상황이다.
✔️ 얼마나 안 좋나? 지난 4일 기준, 메타 주가는 하루에만 26% 폭락했다. 그렇게 사라진 돈이 2500억달러. 4분기 실적보고 결과, 글로벌 1일 활성유저가 전 분기 대비 약 50만명이나 감소했다. 그러면서 저커버그 재산이 300억달러가 날아갔고 전세계 부자 순위 10위로 밀려났다.
✔️ 왜 안 좋은데? 유저 수가 빠진다는 건 플랫폼이 더이상 매력적이지 않다는 의미다. 이미 많은 숫자가 틱톡으로 이동하고 있지 않은가. 이와 동시에 애플의 개인정보 보호정책도 한 몫했다. 앱 유저들에 '개인정보 제공 동의 여부'를 묻기 시작했으니 페북 광고사업에 영향이 갈 수밖에 없다. 아마 약 100억달러 손실이 날 것이란 예측이다.
✔️ 또 다른 이유도 있던데? 메타버스에 진심이라며 사명을 '메타'로 바꾸기까지 했는데, 바로 이 메타버스에 대한 기대치가 상당히 낮다. 메타버스가 제대로 돌아가려면 적어도 10년이 걸릴 것이고, 지금 당장은 수익이 될 상품이 나오지 않을 거란 예측이다.
|
|
➕ 이런 사건도 있네? 메타플랫폼에 현실과 유사한 일이 벌어지고 있다. 성희롱 등 아바타 괴롭힘이 발생하고 있는 것. 그래서 최근 이를 방지하기 위해 '호라이즌 월드', '호라이즌 베뉴'에 아바타간 거리두기(1.2m) 기능이 도입됐다.
* * *
지금부터는 메타 빼고 웃고 있는 빅테크를 소개한다.
✔️ 아마존은 우선 직원수가 '20년 80만명에서 현재 160만명 이상 증가. AWS 사업+지분을 갖고 있는 전기차 리비안 덕분에 순이익이 2배 증가. 광고사업만으로 유튜브보다 많은 310억달러 매출. - 그러나 여전히 해결되지 않는 노사갈등이 문제.
✔️ 애플은 4분기 실적이 1239억5000만 달러 매출. 코로나 등 공급망 문제가 해결되며 1분기 매출도 증가할 거란 기대감에 주가 역시 급등.
|
|
현재 넷플이 경계해야 할 건 다른 OTT가 아닌 유튜브가 되겠다. 앞서 빅테크 실적 중 알파벳(구글)이 빠진 건 여기서 좀 더 자세히 주목하기 위해서다.
✔️ 알파벳 실적 이끈 건 유튜브? 알파벳의 작년 수익이 전년 대비 41% 증가한 2570억달러다. 여기서 유튜브 광고 수익이 340억달러(넷플이 300억달러). 물론 유튜브 대부분이 광고 수익이고 넷플은 구독료이니 기준이 조금 다르다.
✔️ 유튜브를 더 많이 본다? 안드로이드 유저 대상으로 조사해보니, '20년 한달 평균 유튜브 이용시간은 23시간, 넷플은 6시간이다.
✔️ 누가 예측했을까? 구글이 2006년 유튜브를 16억달러에 인수할때만 해도 긴가민가했다. '20년까지도 스트리밍 서비스에 대한 수익이 나지 않았을 정도. 그런데 현재 유튜브는 세계에서 넘버2 검색 엔진이 됐다.
➕ 넷플이 움직인다! 넷플이 2022년 신작 리스트를 공개했다. 오리지널이 86편, 실사영화 61편, 애니 5편, 비영어권 영화 3편이다. 넷플은 지난 달 구독료를 인상한 만큼 기대치에 부응할만한 오리지널 콘텐츠를 가열하게 쏟아내야 한다.
|
|
지금까지가 전통적인 필드농업이었다면 조만간 실내에서 AI로 돌아가는 수직농업 세상이 오겠다. 작년 전세계 실내농업 스타트업들이 70건의 거래로 16억달러를 벌어들였고, 이는 전년 대비 86% 증가한 수치다.
✔️ 수직농업은 무엇? 일반적인 농업기술에 IoT 센서 등의 기술을 결합, 완벽한 실내환경에서 1년 내내 식량을 재배하는 농법이다. 완벽한 환경에서 자라니 진정한 유기농이 되겠지만 그만큼 들어가는 비용과 전력량이 겁나 비싸다는 것이 숙제다.
✔️ 성장산업이 되는 이유는? 노동감소와 기후 재앙 등이 심화되자 1년 내내 신선한 농산물에 대한 니즈는 더 커지고 있다. 이런 시류를 포착하고 VC들이 수직농업 사업에 무서운 속도로 달려들고 있는 것. 이와 동시에 대형마트 역시 변화없는 꾸준한 식량 수급을 위해 관련 스타트업과 손잡고 있다.
✔️ 어디가 뜨고 있나? 최근 플랜티 회사는 본 업계에선 사상 최대인 4억달러 수익을 올렸다. 이에 힘입어 월마트와 제휴 맺고 식품 공급에 나선다. Upward Farms이란 회사는 펜실베니아에 곧 25만평의 뉴 공장을 만들건데 아마 전세계에서 가장 큰 실내농장이 될 거라고.
|
|
글로벌 벤처펀딩이 '20년 3350억달러에서 '21년 6430억달러로 거의 2배가 뛰었다. 이런 여세를 몰아 올해 1월에만 VC들이 쏟아낸 금액이 610억달러다. 투자금이 몰리는 곳을 보면 미래 산업이 보인다.
✔️ 바이오 산업: 에이콘 테라퓨틱스가 작년 시리즈A로 1억4800만달러를 모은 데 이어, 최근 시리즈B로 5억1780만달러를 모금했다. 미국 신약개발 스타트업으로, 살아있는 세포에서 개별 단백질의 실시간 움직임을 측정한 것을 바탕으로 차별화된 치료제를 발굴하고 개발하는 곳이다.
✔️ 에너지 산업: 하이드로스터가 골드만삭스로부터 2억5천만달러를 투자받았다. 캐나다 에너지 저장 스타트업으로, 특허받은 압축 공기 에너지 저장 기술을 사용해 장기적인 에너지 저장 솔루션을 제공하는 곳이다.
✔️ NFT 산업: 일분톡에서도 간간이 등장한 '오픈씨'다. NFT를 거래하는 가장 큰 마켓으로, 시리즈C로 3억달러를 모금하며 기업가치 133억달러가 됐다. 그만큼 올해에도 가상화폐, NFT에 대한 관심은 지속될 거란 전망이다.
|
|
알게 모르게 크롬 로고가 계속 변해왔다. 올해 8년만에 한 번 더 변신하는데... 글쎄...
우선 2008년 이후는 확연히 다르지만 '11년부터는 애매하다. 일분톡이 눈치챈 건, 1) 빨/노/초 색감이 활기차졌다 2) 가운데 원의 흰색 테두리가 넓어졌다 3) 가운데 원의 파란색이 진해졌다. 더 자세한 분석은 여기서
|
|
☝️ 1분 토킹
[테슬라 노래방]
테슬라가 차량 노래방 기능 전용으로 만든 마이크 '테슬라믹'이 중국에서 출시 한 시간 만에 매진됐다. 2개 마이크 가격은 188달러.
[모질라 VR 클로즈]
모질라가 VR용으로 만든 '파이어폭스 리얼리지 브라우저'를 종료한다. 4년 전 만들어 유저들이 VR 헤드셋을 쓰고 마우스대신 VR 핸드 컨트롤러로 사용할 수 있는 브라우저다. 대신 오픈소스 브라우저 '월빅'으로 대체될 거라고.
[펠로톤 이대로 무너지나]
지속적인 실적 하락으로 위기에 처한 펠로톤이 아마존에 인수될 거란 예측이 나오고 있다. 만약 인수한다면 제대로 된 회생전략이 없는 한, 기회이자 도박이 될 거란 의견이다. 이외 인수자로 나이키도 거론되고 있다.
[인도판 트위터]
인도에서 트위터를 뛰어넘을 앱이 탄생했다. 마이크로블로깅 앱 Koo다. 작년 인도 내 다운로드 수가 2천만건이다(트위터 인도 사용자는 2천5백만). 인도 정부가 디지털 콘텐츠 관련 규제를 강화하면서 이에 부합하지 않는 트위터를 떠나 Koo로 쏠리고 있는 것.
|
|
🎁 1분 캘린더 이벤트
일분톡 새해맞이 이벤트는 계속된다 🚀
새해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? 온라인으로 많이 이동했지만 여전히 오프라인에서도 꼭 필요한 그것! 바로 캘린더인데요.
카카오페이의 '감사협찬'을 받아 <2022 카카오페이 캘린더 세트>를 찐톡님께 드립니다. 쎄뚜니까 단순 캘린더가 아니겠죠? 구성이 얼마나 알차게요~
|
|
버릴 것 하나 없는 '친환경 캘린더'인데요, 심지어 패키지 박스는 파일 박스로도 사용할 수 있다는😆 상품도 상품이지만 뭐니뭐니해도 카카오 캘린더를 책상 위 올려두는 것만으로도 플렉스겠죠?
[캘린더 세트 상세보기]
정말 탐난다면 주저말고 신청버튼 클릭! 당첨자는 다음 일분톡에서 발표할게요😄
|
|
|
|
|
|
|